송담정은  선사  행장  약록

(松潭正隱 禪師 行狀 略錄)

 

스님은 1927 8 24()에 광주광역시 광산구 안청리에서 박일규(朴日圭)를 부친(父親)으로 이 금강심을 모친으로 하여 태어나셨다. 속명은 박종삼(朴鍾參)

서당에서 한학(漢學)을 배우시고 늦게 학교에 들어가셨다. 

1945년 광주 서중 졸업식 날 이발소에서 삭발하고 출가를 결행하여, 이 해에 광주 무등산 자운선원(紫雲禪院)에서 전강선사를 은사로 하여 사미계를 받으셨다. 

이후 수년간 전강선사를 모시고 광주 계림동 경양방죽가에서 낮엔 하꼬방 장사를 하며 정진하고 밤에는 좌선하셨다.

10년 묵언정진 끝나던 해인 1957년(31세)에 담양 보광사에서 활연대오(豁然大悟)를 하시니 오도송은 이러하였다.

 

   黃梅山庭春雪下 (황매산정춘설하) 황매산 뜰에는 봄눈이 내렸는데,

   寒雁唳天向北飛 (한안여천향북비) 차운 기러기는 저 장천에 울며 북을 향해서 날아가는구나. 

   何事十年枉費力 (하사십년왕비력) 무슨 일로 십년 동안을 헛되이 힘을 허비 했던고! 

   月下蟾津大江流 (월하섬진대강류) 달 아래 섬진대강이 흐르는구나.

 

이에 전강선사께서 옛 조사들의 중요한 공안에 대한 탁마를 낱낱이 마치고 나서는 흔연히 인가를 하시니, 경허  만공  전강으로 이어지는 불조의 제78대 법맥을 이으셨다.

 

전강선사께서 도봉산 망월사 조실로 계시던 1960년에 정식으로 스님에게 송담(松潭)이라는 법호와 전법게(傳法偈)를 내리시고 이를 대중에게 공표하니 전법게는 이러하였다.

 

   非法無非法 (비법무비법) 법도 아니요 법 아님도 없느니라.

   無法亦無心 (무법역무심) 법 없는 것 또한 무심(無心)이더라.

   此日秋色多 (차일추색다) 이 날 가을빛이 많이 있어

   江松白雲飛 (강송백운비) 강 소나무에는 흰 구름이 날더라. 

 

스님은 이후 오랜 동안 탄광, 어촌 등으로 몸을 숨기시고, 전국의 여러 기차역과 버스정류장의 변소와 그 주변청소를 하기도 하셨으며, 서산 방조제를 막는데 일꾼으로 일하기도 하시면서, 그 가운데 투철히 보림수행(保任修行)을 하셨으니 이른바 성스런 태를 오래 오래 기른다[長養聖胎]’라 함이 바로 이것이었다. 

이후 1970년에 수원 용주사 주지를 역임하셨으며, 1975년1월(음,갑인년12월 )에 전강선사께서 열반에 드시니 뒤를 이어 용화사 선원장으로 취임하시고 현재까지 법을 널리 펴고 계신다. 

 

언젠가 누가 왜 스님이 되셨습니까?” 하고 질문을 드린 적이 있는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게 무얼까!  세상 모든 것은 무상하다. 사람들은 평생토록 잘 살기 위해 고생 고생하지만 끝내는 환상과 꿈을 간직한 채 죽어가니, 결국엔 나도 이렇게 살 수 밖에 없는가? 하는 고뇌 때문에 출가했다"고 말씀하셨다.

앞으로 어떤 일을 하고 싶으신가요?” 하는 물음에 담담히 이렇게 말씀하셨다.

배고플 때는 밥 먹고, 곤할 때는 잠자고, 손님들이 올 때는 같이 이야기 하면서 웃기도 하고, 손님들이 떠나면 조용히 지냅니다.

전강영신 대종사 행장 약록

(田岡永信 大宗師 行狀 略錄)

 

 선사는 18981116일 전남 곡성군 입면 대장리에서 정해용(鄭海龍)을 아버지로, 황계수(黃桂秀)를 어머니로 태어났다. 

1914년 해인사에서 인공화상(印空和尙)을 득도사(得度師), 제산화상(霽山和尙)을 은사(恩師), 응해화상(應海和尙)을 계사(戒師)로 득도하였으며, 영신(永信)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1918년 해인사 강원에서 대교과(大敎科)를 수료한 뒤, 도반의 죽음을 보고 무상함을 느껴 김천 직지사(直指寺) 천불선원(千佛禪院)으로 가서 제산화상의 가르침을 받으며 불철주야 정진하였고, 예산 보덕사(報德寺)정혜사(定慧寺) 등에서도 수도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수행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여 덩어리 같은 피가 코와 입으로 흘러나오거나 머리가 터져 삭발조차 할 수 없었으며, 특히 백일 동안 잠을 자지 않고 수행한 일화는 유명하다. 

23세 때인 1921년에 곡성 태안사 동리재를 넘다가 개오(開悟)하고 오도송(悟道頌)을 남겼다.

 

   昨夜月滿樓 (작야월만루)   어젯밤 달빛은 누()에 가득하더니,

   窓外蘆花秋 (창외노화추)   창 밖은 갈대꽃 가을이로다.

   佛祖喪身命 (불조상신명)   부처와 조사도 신명(身命)을 잃었는데, 

   流水過橋來 (유수과교래)   흐르는 물은 다리를 지나오는구나.

 

그 뒤 당대의 선사들을 찾아가 탁마(琢磨)를 하여 인가(印可) 받았는데, 1923년 금강산 지장암(地藏庵)의 한암(漢巖)선사를 찾아가자 한암선사가 묻기를, “육조(六祖)스님께서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이라 일렀지만, 나는 본래무일물이라 하여도 인가를 못하겠으니, 그대는 어떻게 하여 인가를 받겠는가?” 하였다. 이에 손뼉을 세 번 치고 물러나왔다. 

같은 해 서울 대각사(大覺寺)의 용성(龍城)선사를 찾아가 제일구(第一句) 공안으로 인가를 받았고, 부산 선암사(仙巖寺)의 혜월(慧月)선사를 찾아가 공적영지(空寂靈知) 공안으로 인가를 받았다. 1923년 수덕사 금선대의 만공(滿空)선사를 찾아가 예배하니,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는고?” 하여 다시 예배를 하였다. 만공선사가 거듭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는고?” 하여, 서슴없이 주먹을 불끈 들어 보이자, “네 견성(見性)이 견성이 아니다.” 하며 여지없이 부인하고 상대를 하지 않았다. 거기에서 재발심하여 판치생모(板齒生毛) 화두를 잡고 용맹정진 하였으며, 반철만에 홀연히 마조원상공안의지(馬祖圓相公案意旨)가 분명히 드러났다. 

그 길로 만공선사의 처소에 나아가 마조원상공안을 여지없이 이르니, “누가 밤사람 행한 것을 알 수 있겠는가[誰知更有夜行人]!” 하면서 확철대오(廓徹大悟)를 인가하고, 옛 조사들의 중요한 공안에 대한 탁마를 낱낱이 마쳤다. 그 뒤 만공선사 곁을 떠나려 하자, 만공선사가 묻되 부처님은 계명성(啟明星)을 보고 오도하였다는데, 저 하늘에 가득한 별 중 어느 것이 자네의 별인가?” 하였다. 곧 엎드려 땅을 더듬는 시늉을 하니 선재선재(善哉善哉).” 하고, 

 

   佛祖未曾傳 (불조미증전)   불조가 일찍이 전하지 못하였는데 

   我亦無所得 (아역무소득)   나도 또한 얻은 바 없네.

   此日秋色暮 (차일추색모)   이 날에 가을빛이 저물었는데,

   猿嘯在後峯 (원소재후봉)   원숭이 휘파람은 후봉에 있구나. 

 

라는 전법게(傳法偈)와 함께 선종 제77대의 법맥(法脈)을 전수하였다.

 

33세 때인 1931년 통도사 보광선원(普光禪院)의 조실(祖室)을 시작으로, 1934년 법주사 복천선원(福泉禪院), 1936년 김천 수도선원(修道禪院), 1948년 광주 자운사(紫雲寺) 등 전국 유명선원의 조실을 역임하면서 중생교화에 임하였고, 625가 일어나자 광주에서 가게를 차리고 제자 송담(松潭)의 오도를 위하여 심혈을 기울였다. 

그 뒤 1955년부터 해남 대흥사(大興寺) 주지, 담양 보광사(普光寺) 조실, 인천 보각사(普覺寺) 조실을 역임하였고, 1959년 구례 화엄사 주지 및 전라남도 종무원장(宗務院長)이 되었다.

 

1957년 담양 보광사에 있을 때 10년 묵언수행 하던 제자 송담이 활연대오(豁然大悟)하니 오도송은 이러하였다.

 

   黃梅山庭春雪下 (황매산정춘설하)   황매산 뜰에는 봄눈이 내렸는데,

   寒雁唳天向北飛 (한안여천향북비)   차운 기러기는 저 장천에 울며 북을 향해서 날아가는구나.

   何事十年枉費力 (하사십년왕비력)   무슨 일로 십년 동안을 헛되이 힘을 허비 했던! 

   月下蟾津大江流 (월하섬진대강류)   달 아래 섬진대강이 흐르는구나.

 

이에 옛 조사들의 중요한 공안에 대한 탁마를 낱낱이 마치고는 흔연히 인가하였다.

 

1960년 망월사(望月寺) 조실로 있을 때, 법석에서 제자 송담에게 다음과 같은 전법게를 내리고 불조 제78대 법맥을 잇게 하니, 대중이 모두 이를 증명하였다.

 

   非法無非法 (비법무비법)   법도 아니요 법 아님도 없느니라.

   無法亦無心 (무법역무심)   법 없는 것 또한 무심(無心)이더라.

   此日秋色多 (차일추색다)   이 날 가을빛이 많이 있어

   江松白雲飛 (강송백운비)   강 소나무에는 흰 구름이 날더라.

 

1961년 인천 용화사(龍華寺)에 법보선원(法寶禪院)을 개설하여 그곳에서 15년 동안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그와 함께 1962년 대구 동화사(桐華寺) 조실, 1966년 부산 범어사(梵魚寺) 조실, 1967년 천축사(天竺寺) 무문관(無門關) 조실 및 대한불교조계종 장로원(長老院) 장로를 역임하였고, 1970년 용주사(龍珠寺)에 중앙선원을 창설하였으며, 1974년 지리산 정각사(正覺寺) 선원의 조실을 역임하였다.

1975 1 13(음 갑인년 12 2) 영가를 위한 천도법문(薦度法門)을 마치고 제자들을 모아, “어떤 것이 생사대사(生死大事)인고? (), 구구(九九)는 번성팔십일(翻成八十一)이니라.”는 법문과 함께, 화장한 뒤 사리(舍利)를 수습하지 말고 재를 서해에 뿌릴 것을 당부한 다음 앉아서 입적하였다.

평생 활구참선(活句參禪)을 제창하였고, 판치생모(板齒生毛) 화두로써 학자들을 제접하였다. 또한 입적한 날까지 10여년 동안 새벽마다 수행자들을 위하여 설법하였으며, 특히 700여개의 육성테이프를 남겨 후학들이 참선공부를 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였다. 제자로는 전법제자(傳法弟子)인 송담을 필두로, 정공(正空)정우(正愚)정무(正無)정대(正大)정락(正樂)  50여명과 손상좌 200여명이 있다. 저서로는전강법어집 이 있다.

용화법맥도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1대 가섭                                → 2대 아난                                 → 3대 상나화수                        → 4대 우바국다 →

5대 제다가                            → 6대 미자가                             → 7대 바수밀                            → 8대 불타난제 →

9대 복다밀다                        → 10대 협(脇)                           → 11대 부나야사                      → 12대 마명(馬鳴) →

13대 가비마라                      → 14대 용수(龍樹)                  → 15대 가나제바                      → 16대 나후라다 →

17대 승가난제                      → 18대 가야사다                      → 19대 구마라다                      → 20대 사야다 →

21대 바수반두                      → 22대 마나라                          → 23대 학륵나                          → 24대 사자(師子) →

25대 바사사다                      → 26대 불여밀다                      → 27대 반야다라                      → 28대 보리달마 →

29대 혜가(慧可)                  → 30대 승찬(僧燦)                   → 31대 도신(道信)                  → 32대 홍인(弘忍) →

33대 혜능(慧能)                  →  34대 남악회양(南嶽懷讓) → 35대 마조도일(馬祖道一) → 36대 백장회해(百丈懷海)→

37대 황벽희운(黃蘗希運) → 38대 임제의현(臨濟義玄) → 39대 흥화존장(興化存獎) → 40대 남원혜옹(南院慧喁) →

41대 풍혈연소(風穴延沼) → 42대 수산성념(首山省念) → 43대 분양선소(汾陽善昭) → 44대 자명초원(玆明楚圓) →

45대 양기방회(楊岐方會) → 46대 백운수단(白雲守端) → 47대 오조법연(五祖法演) → 48대 원오극근(圓悟克勤) →

49대 호구소륭(虎丘紹隆) → 50대 응암담화(應庵曇華) → 51대 밀암함걸(密庵咸傑) → 52대 파암조선(破庵祖先) →

53대 무준사범(無準師範) → 54대 설암조흠(雪岩祖欽) → 55대 급암종신(及庵宗信) → 56대 석옥청공(石屋淸珙) →

57대 태고보우(太古普愚) → 58대 환암혼수(幻庵混修) → 59대 구곡각운(龜谷覺雲) → 60대 벽계정심(碧溪正心) →

61대 벽송지엄(碧松智嚴) → 62대 부용영관(芙蓉靈觀) → 63대 청허휴정(淸虛休靜) → 64대 편양언기(鞭羊彦機) →

65대 풍담의심(楓潭義諶) → 66대 월담설제(月潭雪霽) → 67대 환성지안(喚醒志安) → 68대 호암체정(虎岩體淨) →

69대 청봉거안(靑峰巨岸) → 70대 율봉청고(栗峰靑杲) → 71대 금허법첨(錦虛法沾) → 72대 용암혜언(龍岩慧彦) →

73대 영월봉률(詠月奉律) → 74대 만화보선(萬化普善) → 75대 경허성우(鏡虛惺牛) → 76대 만공월면(滿空月面) →

77대 전강영신(田岡永信) → 78대 송담정은(松潭正隱)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