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501 무자십절목4(매몰조사심까지)(갑인74.05.23) 58분

오온위주암(五蘊爲主庵) 오온[망상몸뚱이]으로써 주인이 되었다

기경풍우다(幾經風雨多) 얼마나 풍우를 많이 겪었느냐? (이렇게 미해 온 지가 얼마냐)

종차이정별(從此梨亭別) 이로조차 이정(梨亭)에서 이별을 이렇게 해버릴 거 같으며는

하생갱상봉(何生更相逢) 다시 언제 서로 만날 것이냐.

*1,2구 서산대사 ‘妙峰’ / 3구 서산대사‘次李方伯韻別’ 원문 梨亭從此別

 

차신불향금생도(此身不向今生度) 이 몸뚱이를 금생에 제도하지 못하면

갱대하생도차신(更待何生度此身) 다시 어느 때를 향해서 제도할꼬.

*예장종경(豫章宗鏡) <銷釋金剛經科儀會要註解>

 

해저이우함월주(海底泥牛啣月走) 바다밑의 진흙소는 달을 물고 달아나고

암전석호포아면(巖前石虎抱兒眠) 바우 앞에 돌호랭이는 아이를 안고 조는구나

철사찬입금강안(鐵蛇鑽入金剛眼) 쇠뱀은 금강눈을 뚫고 들어갔다

곤륜기상노사견(崑崙騎象鷺鷥牽) 곤륜산이 코끼리를 타매 노사라는 놈이 이끈다.

*고봉원묘

 

No. 502 무자십절목5(낙재심처까지)(갑인74.05.24) 54분

범과탄금석(帆過彈琴石) 돛배는 거문고 타는 그 대(臺)를 턱 지내가는구나

운기무학대(雲起舞鶴臺) 구름은 저 무학대에서 일어난다

도원하소재(道源何所在) 도 닦는 곳이 어느 곳에 있느냐?

낙화만계류(落花滿溪流) 떨어진 꽃은 시내 가득하게 흘러내려오는구나.

*서산대사 ‘尋雲溪洞’ / 원문 帆過彈琴石 雲生舞鶴臺 桃源知不遠 流水落花來

 

보관일체중생(普觀一切衆生) 일체 중생을 보니

구유여래지혜덕상(具有如來智慧德相) 나와 똑같은 지혜덕상이 다 있구나.

*<화엄경> 여래출현품

 

No. 503 무자십절목6(수감향이면전하야 염출까지)(갑인74.05.25) 31분

유곡소죽석천명(幽谷小竹石泉鳴) 깊숙한 골짜구니[골짜기]에 조그만한 대[竹]가 있고 돌샘이가[돌샘이] 우는구나

하일유지객심뇌(夏日有遲客心惱) 여름날은 더뎌서 객의 마음이 수고롭다

화류임앵다설고(花柳林鶯多舌苦) 꽃버들 속에 꾀꼬리는 셋바닥[혀]이 괴로와

청산유수고인정(靑山流水古人情) 청산 흐르는 물은 옛사람의 뜻이다.

 

No. 504 무자십절목7(통명자기까지)(갑인74.05.26) 52분

교소침변부(巧笑枕邊斧) 괴상스럽게 웃는 웃음은, 웃음 속에 도꾸[도끼]가 들었어

감언석상사(甘言席上蛇) 단 말은 자리 밑에 독사여

악의감수절(惡衣甘守節) 떨어진 옷은 도인의 절개에 마땅하다

암곡호장신(嵒谷好藏身) 참선하는 방에서 몸뚱이를 간직하고 있구나.

*서산대사 : 1,2구 ‘因事有感’ 3,4구 ‘一禪子’

 

삼세심도불가득 점마하심(三世心都不可得點麽何心) 과거심도 얻지 못하고 현재심도 얻지 못하고 미래심도 얻지 못하는데 점심을 달라하니 어느 마음에 점을 칠랍니까?

*덕산스님은 젊어서 금강경에 정통하여 주금강(朱金剛)으로 불리었다. ‘경에 삼아승지겁을 닦아야 성불한다고 했는데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 한다니 이것은 외도법’이라 생각하고는 달마스님으로부터 전해 온 선법(禪法)을 펴고 있는 용담[龍潭崇信]스님에게 척사현정방(斥邪顯正棒)을 날리기 위해 찾아갔다.

절 앞에 이르러 배가 고파서 절 앞에서 떡 파는 노파에게 떡을 사먹으려고 했다가 이 구절을 질문 받고는 한마디 대답 못하고 노파에게 수모를 당하였다. 그런 수모를 당한 후에 곧바로 용담스님을 찾아뵙고 확철대오를 하고는 “다시는 천하 선지식의 말씀을 의심치 않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법문 한마당

◎고봉스님의 술

고봉스님께서 술을 자시고 “학자가 누가 나한테 술을 먹을 때 만약 조주무자화두의지[無字話頭意旨]를 물으면 내가 ‘술’ 그러것다.” 술은 무슨 공안이 아니리오. 술도 공안이요, 고기 먹고 술먹고 한 것이 반야묘용 아님이 있나. 체중현(體中玄)에 들어가선 그런 법도 있다 그말여,

그렇다고 해서 뭐든지 물으면 술, 뭐든지 물으면 고기, 뭐든지 물으면 잡담, 그것도 법이여? 체중현으로 본다며는 추어망담(醜語妄談)도 개시묘법(皆是妙法)이니 확철대오한 분상에는 무엇이 아니리요. 하지만 그렇게 못혀, 그렇게 한 법이 없어 (…)

 

“술먹을 때에 조주무자공안을 묻거드면 ‘술’ 그러것다” 그랬다 그말여. 그래 내가 있다가, 나는 그때 그런 스님밑에 공부하고 있을 땐디, 나보다 근 십년 됐으니까 훨씬 선배시고… “조주무자의지를 묻거드면 ‘술’ 그래요? 그렇게 문답을 해야 해요?” “그래!” “나한테 물으시오.” 내가 그래가지고 그 문답한 내용이 다 있어. 거 문답 들은 사람은 다 알지. 그런 거 지금 함부로 여기서 하면은 듣고 지견 붙여서 공연히 딴짓 하고 앉었어. 그래서 내가 그 문답을 않고 내비 두것어…. 그래 공안문답이란 것이 그렇게 심히 분명하고 심히 무섭고 어림도 없어. (…)

 

양말 한짝이 도요 양말 한짝이가 부처요 요따구 짓이나 하고 돌아다니면서 꺼떡하면 대답 푹~ 할려고 나오고, 그래 돼? 그게 되냐 그말여…. 견성한 거 같어 마음에? 양심으로 한번 비춰봐. 그런 버릇떼기를 왜 하냐 그말여. 왜 도닦는 학자가 거짓행동을 하냐 그말여. 무엇을 못해서 그런 짓을 혀. 차라리 빌어먹고 거리노상에서 춤을 추고 돌아다닐지언정 그런 짓을 왜 하냐 그말여. 학자가 크게 삼가해야 한다 그말여.

 

No. 505 무자십절목8(종하처출까지)(갑인74.05.27) 52분

일성초운안(一聲楚雲鴈) 한소리, 초나라로 울고 가는 기러기다

고범원객주(孤帆遠客舟) 외로운 돛배는 가물가물 가버린다

해색벽어천(海色碧於天) 바닷빛은 하늘과 같이 퍼려[푸르러]

양양백구비(兩兩白鷗飛) 백구란 놈은 잠겼다가 떴다가 떴다가 잠겼다가 이러는구나.

*淸虛堂集 登鐵城城樓有感’ / 4兩兩飛白鷗

 

작야삼경월만루(昨夜三更月滿樓) 어젯밤 삼경 달은 다락에 가득했는데

고가창외노화추(古家窓外蘆花秋) 옛집 창밖에는 갈대꽃 가을이니라

불조도차상신명(佛祖到此喪身命) 불조도 여기에 이르러서 상신실명 했느니라

암하유수과교래(岩下流水過橋來) 바우 아래 흐르는 물은 다리를 지내오는구나.

*전강대종사 오도송

 

No. 506 활구참선, 용무생사, 몽산시중(계축73.09.11) 73분

사대성고취(四大誠苦聚) 사대[몸뚱이]가 진실로 고취[괴로움 덩어리]여

삼계진화택(三界眞火宅) 삼계라는 것은 참말로 불집이다

여아구출몰(汝我俱出沒) 너나 나나 밤낮 삼계화택집을 나왔다 들어갔다 나왔다 들어갔다 한다

겁해종난측(劫海終難測) 겁해로도 수를 헤아릴 수가 없다.

*서산대사 ‘寄應禪子兼示神秀沙彌’

 

혜학성보리(慧學成菩提) 지혜스럽게 배운 것은 보리를 이룬다.

*<자경문>

 

황화취죽선명묘법(黃花翠竹宣明妙法) 누른꽃 푸른 대도 묘법을 선명했고,

풍가월저현로진심(風柯月渚顯露眞心) 바람가지 물달도 진심을 드러냈다

앵음연어상담실상(鶯吟燕語常談實相) 제비 울고 꾀꼬리 우는 것도 실상을 말한거다

돌(咄)                                                   돌[쯧쯧]!

*전강스님의 일본 평화사 상량법어

 

No. 507 무자십절목9(끝)(갑인74.05.29) 27분

금봉천리객(今逢千里客) 천리서 온 객이 이제사 (나 찾는 법을) 만났다

내파만산운(來破萬山雲) 이제 와서는 만산 구름을 헤치는구나

창연미죽색(蒼烟迷竹色) 푸른 연기는 댓색을 희미하게 만드는구나

창외하일지(窓外夏日遲) 창 밖에는 여름날이 더디구나.

*서산대사 : 1,2구 ‘次李方伯韻別’ 3구 ‘次李監司拭韻二首’

 

◆법문 한마당

◎부처님의 삼불능(三不能)

1. 일시에 일체중생을 확철대오하게 만들지 못함. 불능진중생계(不能盡衆生界)

2. 부처를 비방하고 믿지 않는 사람을 제도하지 못함. 불능도무연중생(不能度無緣衆生)

3. 중생의 과보(果報)를 대신 하지 못함. 불능면정업중생(不能免定業衆生)

 

No. 508 휴휴암주 좌선문1(갑인74.06.01) 46분

구주한남객(久住漢南客) 오랫동안 나를 깨닫지 못하고, 객(客)질만 해 온 우리 인생이다

관서행승유(關西行勝遊) 어쩌다가 다행히 정법도량, 나를 찾을 이 해탈 도량을 왔냐 말이여

풍안초염일(楓岸初染日) (만나기는 만났다마는) 그 단풍 시절이 곧 닥쳐온다 (뚝뚝 떨어지는 낙엽 시절이 앞에 닥쳐와)

소우과강추(疎雨過江秋) 성근 비는 강추(江秋)에 지낸다.(그 비 지내듯 잠깐 가버릴 것이다)

*서산대사 ‘贈敏禪子’ / 원문 久住漢南寺 關西一勝遊 岸楓初染日 疎雨過江秋

 

No. 509 휴휴암주 좌선문2(갑인74.06.02) 22분

고목별춘색(枯木別春色) 마른 냉기가 봄빛을 이별했고

영양괘벽상(羚羊挂壁上) 영양(羚羊)이란 놈이 댕기다가 뿔을 벽상에 걸어버리면은 발자취도 없다

청산유력진(靑山遊歷盡) 청산을 다 찾아댕기면서 모두 지내 다했다

장부능사필(丈夫能事畢) 장부가 능히 일을 마쳤다.

*서산대사 ‘心禪子行脚二’ / 원문 3,4구 山川遊歷罷還我草鞋錢 / 4구는 서산대사 오도송 구절

 

No. 510 무상법문(갑인74.06.03) 20분

시비일침몽(是非一枕夢) 시비를 하는 것은 하룻밤 한 벼개 꿈이여 (하룻밤 꿈에 지나지 못한 것이여)

취산일시정(聚散一時情) 모았다가 흩어졌다 하는 거 한 때의 정이여

안분심휴헐(安分心休歇) 자기의 분(分)에 편안히 해서 마음에 헐떡거리는 생각을 쉬어버리면

인간대장부(人間大丈夫) 인간 가운데에서도 대장부더라.

*1,2구 서산대사 ‘俊禪子’ / 원문 悲歡一枕夢 聚散十年情 *3,4구 서산대사 ‘感興’

 

No. 511 단진범정 별무성해(갑인74.06.04) 14분

가탁병중조(假托甁中鳥) 저 병 가운데 새란 놈이 갇혀 있는 거 같다 (우리 인생살이가 그려)

환성몽중인(還成夢中人) 꿈 가운데 사람이더라

세영구명사(世營求名事) 세상 영화를 구하고 이름을 구하는 일이

업화갱가신(業火更加薪) 업화가, 불무더기에다가 섶을 자꾸 쟁기는[더하는] 거와 같다.

*서산대사 ‘香湖松石’ / 원문 假托甁中雀 還成夢裏人 營營求世利 業火更加薪

 

No. 512 육조선, 화두를 단전에 두는 법, 율사견성기, 참회법(갑인74.06.06) 49분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죄는 자취가 없는디 마음으로 좇아 일어나는구나

심약멸시죄역무(心若滅時罪亦無) 마음 하나 있다가 멸할 때 죄도 없구나

죄멸심망양구공(罪滅心亡兩俱空) 죄도 없고 마음도 없는

시즉명위진참회(是卽名爲眞懺悔) 그게 참말로 진참회로구나.

*참회게

 

요면삼도해(要免三途海) 삼도해를 면하고자 할진댄

수참육조선(須參六祖禪) 바로 활구참선을 할 것이니라

광음양가석(光陰良可惜) 광음을 진실로 아껴라

신물등한과(愼勿等閑過) 참으로 이렇게 등한하게 지내지를 말아라.

*서산대사 ‘贈洛山懷海禪子’ / 원문 須參六祖禪 光陰眞可惜 愼勿等閑眠

 

No. 513 휴휴암주 좌선문3(갑인74.06.07) 16분

산승무외물(山僧無外物) 본분산승(本分山僧)은 외물이 없어

유유천년심(惟有千年心) 오직 천년심뿐이다 (백억 천년도 거기 다 들어 있지)

장천일성안(長天一聲雁) 저 긴 하늘에는 한 소리 기러기다

서산낙일몰(西山落日沒) 서산에는 해 떨어진 것이다.

*서산대사 : 1,2구 ‘寄蓬萊子二’ 원문 惟有百年心 / 3,4구 원문 ‘秋江別友’ 長天一雁怨, 牛山落日時

 

No. 514 휴휴암주 좌선문4(갑인74.06.08) 10분

의상오수족(倚床午睡足) 상(床)에 의지해서 낮잠이 족했어

창외하일지(窓外夏日遲) 창밖에는 여름날이 더디다

소조첨단제(少鳥簷端啼) 적은 새는 처마 끝에서 울고

풍과노수지(風過老樹枝) 바람은 늙은 나무 가지에 지내는구나.

*153번 참조

 

No. 515 대중경책, 척사현정, 운력(갑인74.06.09) 37분

가소세간사(可笑世間事) 가히 우습다, 세간사여

빙소와해야(氷銷瓦解也) 얼음은 얼면 녹기 마련이고 기왓장은 깨져버리면 그만여

약야갱상량(若也更商量) 만약 다시 (집착, 애착, 세속심을) 상량을 할 것 같으면

의전입귀굴(依前入鬼窟) 앞을 의지해서 또 귀신굴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서산대사 : 1,2구 ‘太熙沙彌歸寧’ 원문 可笑世間愛 氷銷瓦解時 / 3,4구 ‘應和禪子’

 

No. 516 박산무이선사 선경어(작개고문와자까지)(갑인74.06.11.새벽) 30분

복기사아귀(腹飢思我鬼) 배고플 때 아귀를 생각해라

안신염지옥(安身念地獄) 몸뚱이 편안하고 좋을 때 지옥고를 생각해라

역이재충언(逆耳在忠言) 귀에 거슬리는 충성스런 말은 얼마나 내게 이문이냐

고구재양약(苦口在良藥) (입에) 그놈의 약이 쓰기는 쓰다마는 어진 약이 돼서 병이 낫는다.

*1,2구 서산대사 ‘寄應禪子兼示神秀沙彌’ / 원문 身安

 

No. 517 서산대사 입산수도 대오활약(갑인74.06.11) 64분

삼십년래반고향(三十年來返故鄕) 삼십년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인망택폐우촌황(人亡宅廢又村荒) 사람 죽고 집 폐하고 촌(村)까지 없다

청산불어춘천모(靑山不語春天暮) 푸른 산은 말 없어 봄하늘이 저물었는데

두우일성래묘망(杜宇一聲來渺茫) 두우(두견새) 한소리가 아득하게 우는구나.

*서산대사 '還鄕’

 

근비지면생(根非地面生) 대 뿌렁지[뿌리]는 땅에서 나온 것 아니고

엽자호단출(葉自毫端出) 대 이파리는 붓끝에서 나왔느니라

월래무견영(月來無見影) 달빛이 비추어주어도 그림자가 없고

풍동불문성(風動不聞聲) 아무리 바람이 불어도 소리가 들리지 않느니라.

*선조 <東師列傳> [청허존자전] 선조가 ‘登香爐峯’ 시로 인해 역모로 누명을 써 궁궐로 잡혀와 모진 고문을 당하고도 의연한 서산대사의 시를 보고 대사의 무죄를 확신하고 대사에게 손수 그린 묵죽 그림에 이 시를 써서 주었다.

 

소상일지죽(瀟湘一枝竹) 소상의 한 대가

성주필단생(聖主筆端生) 성주의 붓끝에서 났습니다

산승향설처(山僧香爇處) 산승이 향을 사르고 절하는 곳에서

엽엽대추성(葉葉帶秋聲) 대 이파리 이파리마다 가을 소리가 우∼ 납니다.

*서산대사, 선조의 그림과 시를 하사받고 답례로 지어 올린 시

 

No. 518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망별인구부득까지)(갑인74.06.13) 12분

유유망북심(悠悠望北心) 유유한 북쪽만 바라보는 마음이여 (북망산을 바라보는 마음이다)

일편초운격(一片楚雲隔) 한 조각 푸른 구름만 막혀 있지

원객숙남강(遠客宿南江) 멀리가는 객은 남쪽강에 잔다 (아득하고 묘연하다)

서루야취적(西樓夜吹笛) 서쪽 누에서는 밤 젓대소리가 들린다.

*서산대사 ‘西湖’ / 원문 一片靑雲隔 遠客宿南山

 

No. 519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무의야까지)(갑인74.06.15) 24분

백운청산리(白雲靑山裏) 백운과 청산 속에

방초고향춘(芳草故鄕春) 꽃다운 풀 고향의 봄이다

인생행락처(人生行樂處) (장가가서 아들 낳고 딸 낳고 논도 사고) 잘 한바탕 사는 것이 인생의 행락이여

세월유수거(歲月流水去) 세월이 유수와 같이 흘러갈 것이니라.

*서산대사 : 1,2구 서산대사 ‘登樓’ / 3,4구 ‘歎逝’ 원문 春隨流水去

 

No. 520 박산무이선사 선경어(차위공부긴요야까지)(갑인74.06.18) 16분

백운청산리(白雲靑山裏) 백운과 청산 속에

방초고향춘(芳草故鄕春) 꽃다운 풀 고향의 봄이다 (기가 막힌 고향이다)

인생행락처(人生行樂處) (장가가서 아들 낳고 딸 낳고 논도 사고) 잘 한바탕 사는 것이 인생의 행락이여

세월유수거(歲月流水去) 세월이 유수와 같이 흘러갈 것이니라.

*서산대사 : 1,2구 서산대사 ‘登樓’ / 3,4구 ‘歎逝’ 원문 春隨流水去

 

No. 521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불파사부득활까지), 조실스님 자연치료(갑인74.06.19) 43분

수지일납천창리(誰知一衲千瘡裏) 누더기 한 벌 입고 천번 가난하고 만번 간고(艱苦)한 천창(千瘡) 속에

삼족금오반야비(三足金烏半夜飛) 세발 달린 금까마귀가 밤중에 나는 것을 알리요

군금척수일소제(君今隻手一掃除) 네가 그러한 도리를 바로 보고 바로 가졌다마는 한손으로 쓸어버려라

봉황성두조일홍(鳳凰城頭朝日紅) 봉황성 머리에는 아침해가 붉으리라.

*서산대사 : 1,2구 ‘金剛山彌勒峰偶吟’ / 3,4구 ‘戲贈白衣僧’

 

No. 522 부처님 방편설, 동토전법(갑인74.06.20) 25분

무한오심사(無限悟心事) 한없는 마음 깨달은 일을

고금설향수(古今說向誰) 고나 금이나 어디를 향해서 설할 수 있나

개창견정수(開窓見庭樹) 창을 열매 정수[뜰의 나무]를 보고

만산일추성(滿山一秋聲) 가득한 산에는 가을소리로구나.

*서산대사 : 1,2구 ‘謝金信士來訪二’ 원문 無限心中事 平生說向誰 / 3,4구 서산대사 : 1,2구 ‘庭悟’

 

No. 523 재송법문(갑인74.06.22) 79분

춘하추동사시절(春夏秋冬四時節) 춘하추동 사시절에

허송세월인간사(虛送歲月人間事) 세월만 허송하는 인간사야

취적기우자(吹笛騎牛者) 젓대를 불며 소를 탄 자야

동서자재임(東西自在任) 동서에 이렇게 임자재 하는구나.

*해석 부분은 녹음이 끊어짐

 

황화읍조로(黃花泣朝露) 국화꽃은 아침 이슬에 울고

홍엽야명추(紅葉夜鳴秋) 서리 맞은 이파리는 밤 가을에 운다.

*서산대사 ‘蓬萊卽事’ / 원문 黃花朝泣露

 

별면불여화유소(別面不如花有笑) 이별허는 것은 꽃웃음만도 못합니다

이정난사죽무심(離情難似竹無心) 모자의 뜻이 여의어진 것은 대만도 못합니다

인인설착조가녀(人人說着曹家女) (어머니가 자식을 잊지 못하는 것도) 사람사람이 조가녀를 말해서

인득상사병전심(因得相思病轉深) 그로 인해 상사병 들어 죽는 것과 같습니다.

*어린 홍인대사가 어머니와 이별하면서 읊은 게송 ※참조 54번

 

창연고목계남리(蒼煙枯木溪南里) 푸른 연기는 저 먼산에 아지랑이처럼 뿌옇게 끼어있는데

아자지향하처거(兒子只向何處去) 이 자식아, 나를 버리고 어느 곳으로 가느냐!

*어머니가 떠나가는 어린 홍인대사를 보고 읊은 게송

 

삼삼백발하청산(毿毿白髮下靑山) 머리가 백발이 되어 이 청산에 내려가서

팔십년래환구안(八十年來換舊顔) 팔십년만에 옛 얼굴을 바꾸어 왔습니다

인각소년송자로(人却少年松自老) 사람은 문득 소년이 되었는데 솔이 이렇게 컸습니다

시지종차낙인간(始知從此落人間) 이로써 인간에 떨어진 것을 알것습니다.

*재송노인이 몸을 바꿔 어린 홍인대사로 태어나, 4조 도신대사를 찾아뵙고 읊은 게송 ※참조 垂垂白髮下青山 七載歸來換舊顏 人却少年松已老 是非從此落人間 - 佛國白 禪師 - <宗鑑法林>

 

금생약불종사어(今生若不從斯語) 금생에 만약 이 말을 듣고 닦지 아니할 것 같으면

후세당연한만단(後世當然恨萬端) 후세에 한이 만단이나 될 것이다

일파유조수부득(一把柳條收不得) 한웅큼 버들가지를 거두어 얻지 못해

화풍탑재옥난간(和風搭在玉欄干) 바람 부는 옥난간에다 걸어두었느니라.

*1,2구 <자경문> / 3,4구 황정견

 

No. 524 박산무이선사 선경어(하수불활야까지), 혜봉스님과 법거량(갑인74.06.23) 35분

일인장락(一忍長樂) 한번 참는 것이 낙이 된다

하불수재(何不修哉) 어찌 닦지 않나

도불원인(道不遠人) 도가 사람을 멀리하는 것 아니라

인자원의(人自遠矣) 사람이 도를 멀리 한다.

*1,2구 <발심수행장> 3,4구 <자경문>

 

No. 525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불상신실명자기희까지), 화두간택법(갑인74.06.25) 27분

악의감수절(惡衣甘守節) 떨어진 옷은 달게 절개를 지키는 것이다

암곡아신장(嵒谷我身藏) 돌구녘[돌구멍] 같은 데서 몸뚱이를 간직하고 있다

조명창외죽(鳥鳴窓外竹) 새는 돌 사이 석죽 속에서 운다

오동명월백(梧桐明月白) 오동냉기[나무]에 달이 떠올라와 환히 비춘다.

*1,2구 ‘一禪子’ 원문 岩谷好藏身

 

No. 526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불가심문축구까지), 총무원인사(갑인74.06.26) 56분

송죽벽운루(松竹碧雲樓) 솔과 대, 푸른 구름 다락

종명서악사(鐘鳴西嶽寺) 서악사에서 종이 운다

삼월춘일만(三月春日滿) 삼월 춘일이 가득헌디

처처낙화풍(處處落花風) 처처에 꽃 떨어진 바람이 불어 향풍이 진동한다.

*1,2구 ‘遊西山’ / 3,4구 전강대종사

 

작야송담풍우악(昨夜松潭風雨惡) 어젯밤 송담에 풍우가 악하더니

어생일각학삼성(魚生一角鶴三聲) 괴기(고기) 한 뿔다구가 났고 학 세 소리다.

*서산대사 ‘贈熙長老’

 

권여은근수선도(勸汝慇懃修善道) 너희들께 은근히 도닦기[깨닫기]를 권한다

속성불과제미륜(速成佛果濟迷倫) 속히 깨달아서 미혹한 중생[미륜]을 제도하라

명년삼월춘풍리(明年三月春風裡) 명년 삼월 춘풍 속에는

자고제처백화향(鷓鴣啼處百花香) 자고새 우는 곳에 백화 향취가 나는구나.

*1,2구 <자경문> / 3,4구 <선가귀감> 원문 常憶江南三月裏

 

No. 527 박산무이선사 선경어(광음양가석까지)(갑인74.06.27) 56분

광음승불계(光陰繩不繫) 광음은 얽어맬라고 해도 맬 수도 없고 가고만 말아

쇠병약난의(衰病藥難醫) 점점 쇠해져서 몸뚱이의 병은 약도 없네

생사중대사(生死重大事) 죽고 사는 이 일이 중대사다

광음양가석(光陰良可惜) 쉬지 않고 가는 광음을 진실로 아껴라.

*1,2구 서산대사 ‘雜興三’

 

불량헌답복무변(佛糧獻畓福無邊) 부처님께 헌답해 드리면 복이 무변하고

유기철물신견고(鍮器鐵物身堅固) 유기철물 사다가 보시하면 몸이 견고해진다.

창호도배면팔난(窓戶塗褙免八難) 창호도배하고 방 고쳐 드리면 팔난을 면한다.

*행선축원문

 

No. 528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불수생사불파까지)(갑인74.06.28) 16분

의상오수족(倚床午睡足) 상(床)에 의지해서 낮잠이 족했어

창외하일장(窓外夏日長) 창 밖에는 여름날이 더디구나

소조첨단제(小鳥簷端啼) 적은 새는 처마 끝에서 울고

풍과노수지(風過老樹枝) 바람은 늙은 가지에 지내는구나.

*전강스님과 인연이 있던 강사스님의 게송 ※夏日長으로 읊으시고 夏日遲로 해설하심

 

진로형탈사비상(塵勞逈脫事非常) 생사해탈 하는 것이 보통일이 아니다

긴파승두주일장(緊把繩頭做一場) 간절히 승두[화두]를 잡아서 한바탕 (공부를) 해봐라

불시일번한철골(不是一飜寒徹骨) 차운 것이 한번 뼈에 사무치지 않거드면[않을 것 같으면]

쟁득매화박비향(爭得梅花撲鼻香) 어찌 매화가 피어서 꽃향기가 코에 다질르겄느냐[코를 찌르겠느냐].

*황벽희운

 

No. 529 박산무이선사 선경어(최요긴시개절자까지)(갑인74.06.29) 17분

생야부운기(生也浮雲起) 몸뚱이 받아 나온 거 구름 일어나는 거 같지

사야부운멸(死也浮雲滅) 목숨 잃어버리는 것이 뜬구름 없어지는 것보다도 더 쉬워

산색의구청(山色依舊靑) 산색은 예를 의지해 항상 푸르러 있으며

강남삼월춘(江南三月春) 강남 삼월춘 그대로 있어, 세월은 언제든지 이대로 있어.

*1,2구 <석문의범>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 3,4구 전강대종사

 

No. 530 박산무이선사 선경어(화두절무혼침까지)(갑인74.07.01) 29분

모운연폐성(暮雲連癈城) 저문 구름은 무너진 성에 연했고

한우세황대(寒雨洗荒臺) 차운 비는 황대를 씻겨버린다

산색의구청(山色依舊靑) 산색은 예를 의지해 항상 푸르러 있으며

강남삼월춘(江南三月春) 강남 삼월춘 그대로 있어, 세월은 언제든지 이대로 있어.

*서산대사 ‘過古都’ / 원문 暮雲連癈堞 寒雨洗荒臺 山色靑依舊 英雄幾去來

 

목마도기번일전(木馬倒騎飜一轉) 목마를 거꾸로 타서 한바탕 뒤집었다

대홍염리방한풍(大紅焰裡放寒風) 큰 불꽃 속에는 차운 바람을 놓는구나.

*나옹화상 ‘爲智如上座下火’

 

No. 531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불가불심까지)(갑인74.07.02) 28분

청산여백운(靑山與白雲) 청산과 백운이

공설무생법(共說無生法) 한 가지 무생법을 설해

주래일완다(晝來一椀茶) 낮에는 다 한잔 먹고

야래일장수(夜來一場睡) 밤에는 잠 한숨 잔다.

*서산대사, 7권본 <청허집> ‘天玉禪子’ / 원문 晝來一椀茶 夜來一場睡 靑山與白雲 共說無生事

 

No. 532 박산무이선사 선경어(비대오야까지)(갑인74.07.03) 26분

오온이위암(五蘊以爲庵) 오온[망상몸뚱이]으로 집을 삼고

기경풍우다(幾經風雨多) 몇 번이나 바람과 비를 이렇게 지냈느냐

백운시왕래(白雲時往來) 구름만 때때로 왕래하는 데

불식주인공(不識主人公) 어째서 그 주인공을 알지 못하느냐.

*서산대사 ‘妙峰’

 

No. 533 육조단경(갑인74.07.04) 96분

체로진상(體露眞常) 체[본각체, 본래마음]가 드러날 것 같으면

불구문자(不拘文字) 문자에 걸리지 않는다

단리망연(但離妄緣) 다만 망연만 여의면

즉여여불(卽如如佛) 여여한 부처니라.

*백장회해

 

신시보리수(身是菩提樹) 이 몸뚱이가 보리냉기[나무]다

심여명경대(心如明鏡臺) 마음은 밝은 명경과 같다

시시근불식(時時勤拂拭) 때때로 부지런히 닦아서

물사야진애(勿使惹塵埃) 명경에 때 끼지 않도록 하자.

*신수대사

 

보리본무수(菩提本無樹) 보리도 본래 냉기[나무]가 없고

명경역비대(明鏡亦非臺) 명경도 대(臺)가 아니여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 (생사도 없고 법견, 불견, 비불견, 有니 無니 非有니 非無니 없다)

하처야진애(何處惹塵埃) 어느 곳에 진애가 있을 것이냐.

*육조 혜능대사

 

심지무비자성계(心地無非自性戒) 네 마음땅 그름 없는 것이 자성계니라 (어떤 것이 그름없는 도리냐?)

심지무란자성정(心地無亂自性定) 네 마음땅 어지러움 없는 것이 자성정이라

심지무체자성혜(心地無滯自性慧) 네 마음땅 막힘이 없는 것이 자성혜니라.

*5조 홍인대사가 혜능스님에게 법을 전하시면서 하신 법문 / 원문 心地無癡自性慧

 

파수오경간월출(芭峀五更看月出) 파수 멧부리에 달 나오는 것을 볼 것이며

두견성리목장려(杜鵑聲裡牧將驢) 두견새 소리 가운데서 나귀를 먹일지니라.

 

황매야실발가사(黃梅夜失鉢袈裟) 황매산에서 밤에 가사와 법보와 바리때를 잃어버렸는데

칠백융도미작가(七百戎徒未作家) 칠백 대중들은 작가를 못했구나 (깜깜칠통으로 깨닫지 못하고 시은만 녹이고 있구나)

*황매송 黃梅夜失鉢袈裟 七百戎徒未作家 莫道春風無彼此南枝結果北枝花

 

No. 534 갑인년 칠석 새벽법문(이뭣고 화두법, 선좌)(갑인74.07.07) 51분

백운전후령(白雲前後嶺) 백운은 공중에 날고 앞뒤는 산인디

명월동서계(明月東西溪) 밝은 달은 동서시내에 비춰주고

선좌낙화우(禪坐落花雨) 그 가운데 선좌를 정해놓고 앉아서 도를 닦는다

승면산조제(僧眠山鳥啼) 중은 졸고 있고 산새는 우는구나.

*서산대사 ‘雙溪方丈’

 

불행방초로(不行芳草路) 방초길[고행정진]을 행치 아니했으면

난지낙화촌(難至落花村) 낙화촌(꽃떨어진 촌)에 가덜 못한다.

*<선가귀감>

 

약인정좌일수유(若人靜坐一須臾) 만약 사람이 고요히 앉아서 잠깐 동안 참선을 하면

승조항사칠보탑(勝造恒沙七寶塔) (항하사 수의) 칠보탑을 조성한 거 보담도 억만 배나 공덕이 장하니라

보탑필경공(寶塔畢竟空) 보탑은 필경 무너져버리고 만다마는

일념정진시정각(一念精進是正覺) 일념으로 ‘이뭣고?’ 찾는 법은 정각을 이룬다.

*<廣淸凉傳> 문수보살이 무착선사에게 준 게송 / 원문 寶塔畢竟壞微塵, 一念淨心成正覺

 

No. 535 욕성무상보리도, 전주 대각궁 조실스님 찬(갑인74.07.08) 40분

욕성무상보리도(欲成無上菩提道) 위없는 보리도를 깨닫고자 할진댄 (가장 높은 위없는 내마음을 깨닫고자 할진댄)

야요상회평등심(也要常懷平等心) 또한 항상 평등한 마음을 품을지니라

약유친소증애계(若有親疎憎愛計) 만약 거기에 친소가 있고 증애계가 있다며는

도가원혜업가심(道加遠兮業加深) 도는 점점 멀어지고 죄업만 자꾸 깊어 가느니라.

*<자경문>

 

차생실각(此生失却) 금생에 이 몸뚱이 한번 잃어버리면

만겁난우(萬劫難遇) 만겁에 만나기 어려우니라.

*<자경문>

 

No. 536 용맹정진, 묵언, 소임(갑인74.07.09) 89분

종조난설인장단(終朝亂說人長短) 아침으로부터서 저녁 잘 때까지 남의 시비만 말하다가

경야혼침낙수면(竟夜昏沈樂睡眠) 밤이 돌아올 것 같으면 밤새 잠만 자는구나

여차출가도수시(如此出家徒受施) 요런 사람들이 도문에 들어와서 도닦는다고 할 것 같으면

필어삼계출두난(必於三界出頭難) 도 닦아야 되지 않고 삼악도에 빠질 것이다.

*<자경문>

 

No. 537 불법 1차 정화, 아난 발심대오(갑인74.07.10) 67분

갑중무검우무서(匣中無劍又無書) 칼집 가운데는 칼이 없고 또한 글도 없구나 (이밖에는 말을 더할 수 없어)

노상유화겸유주(路上有花兼有酒) 길 위에는 꽃이 있고 겸하여 술이 있구나 (그 외에 더 말 못혀)

양자강두양류춘(揚子江頭楊柳春) 양자강 머리에는 양류의 봄인데

양화수살도수인(楊花愁殺渡水人) 버들꽃은 수심을 띠었는디 물을 건너는 사람이로구나.

*1,2구 대홍보은(大洪報恩)선사『선문염송』 / 3,4구 *唐詩人 정곡(鄭谷) ‘淮水與友人別’ / 원문 揚子江頭楊柳春 楊花愁殺渡江人 數聲風笛離亭晩 君向瀟湘我向秦 ※고래로 선문(禪門)에서 많이 인용되었다.

 

고륜독조강산정(孤輪獨照江山靜) 외로운 수레바퀴가 홀로 비추어 강산이 고요하니

자소일성천지경(自笑一聲天地驚) 내 웃음 한소리에 천지가 놀래는구나.

*<임제록>

 

오후약불견인(悟後若不見人) 오후에도 옳은 스승을 만나지 못하면

제호상미 번성독약(醍醐上味飜成毒藥) 제호와 같은 천하에 없는 좋은 음식도 사약이 되야번져[되어버려].

*<선가귀감>

 

No. 538 용맹정진, 시간엄수, 자경(갑인74.07.11) 30분

위타위기수미선(爲他爲己雖微善) 남을 모두 위하고 내 몸뚱이를 위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개시윤회생사인(皆是輪廻生死因) (그것만 가지고는 그것은 다) 생사윤회인밖에는 안된다

원입선원나월하(願入禪院蘿月下) 원컨댄 솔바람 불어주고 칡달 피어있는 깊은 산속 선원에서

장관무루조사선(長觀無漏祖師禪) 샘이 없는 무루 조사선을 관할지어다.

*<자경문>

 

No. 539 불법 2차 정화(사자존자와 계빈국왕)(갑인74.07.13) 46분

양이유래세월심(養爾留來歲月深) 너를 길러온 지가 세월이 깊었다

개롱불견의침침(開籠不見意沈沈) 농[몸뚱이]을 열고 네 모양을 볼 수가 없으니 침침하다

상응지재추강상(想應只在秋江上) 생각건댄 다맛 가을 강상에 있다마는

명월노화하처심(明月蘆花何處尋) 밝은 달 갈대꽃, 어느 곳에서 너를 찾을거나.

*참조 <四聖真君靈籤> 第十八 ‘隨縁’ 養汝原來歲月深 開籠不見意沉沉 想應只在秋江上 明月蘆花何處尋, (199번 참조)

 

수지왕사일륜월(誰知王舍一輪月) 누가 왕사[부처님]의 일륜월이

만고광명장불멸(萬古光明長不滅) 만고에 그 광명이 멸하지 않는 것을 알 수가 있겠느냐.

*함허득통 <금강경오가해설의> 함허 序

 

진귀조사재설산(眞歸祖師在雪山) 진귀조사가 설산에 계셔서

총목방중대석가(叢木房中待釋迦) 총목 방중에서 석가를 기다렸다

전지조인임오세(傳持祖印壬午歲) 임오세에 조인(祖印)을 전하니

심득동시조종인(心得同時祖宗印) 마음 깨달을 때 조인까지 얻었다.

*(고려) 천책(天頙) <禪門寶藏錄> / 원문 祖宗旨

 

양자강두양류춘(揚子江頭楊柳春) 양자강 머리에는 양류의 봄인데

양화수쇄도수인(楊花愁殺渡水人) 물 건너는 사람도 모두 슬퍼하는구나

일성장적이정만(一聲長笛離亭晩) 한 소리 긴 젓대는 이별 정자에 늦었는데

군향소상아향진(君向瀟湘我向秦) 그대는 소상으로 가는디 나는 진나라로 가는구나.

*唐詩人 정곡(鄭谷) ‘淮水與友人別’ / 원문 揚子江頭楊柳春 楊花愁殺渡水人 數聲風笛離亭晩君向瀟湘我向秦

※고래로 선문(禪門)에서 많이 인용되었다.

 

No. 540 불법 3차 정화(달마대사의 3차정화)(갑인74.07.14) 43분

인생백년정하허(人生百年情何許) 인생 백년의 정, 아무 소용 하나도 없는 것이다

영별유유갱불상(永別悠悠更不床) 앞에는 작별상 하나밖에는 아무 것도 없구나

백운요지귀거로(白雲遙指歸去路) 흰구름 왔다갔다 흩어지는 것이나 인생 왔다갔다 흩어지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원산점점천창창(遠山點點天蒼蒼) 산은 점점 멀어지고 하늘은 점점 창창하다.

*서산대사 ‘贈別圓上人’ / 원문 十年相見情何許 臨別悠悠更對床 ※‘갱불상’의 ‘불’ 한자 불명확

 

불불불상견(佛佛不相見) 불불(佛佛)도 서로 보지를 못혀

천성역불식(千聖亦不識) 일천 성현도 알덜 못혀.

*2구 약산유엄(藥山惟儼)

 

이즉돈오 사비돈제(理卽頓悟事非頓除) (생사없는) 이치는 몰록 깨달았다. (허나) 사상사는 몰록 제할 수 없다.

*<능엄경>

 

No. 541 갑인년 하안거해제일 새벽법문(구봉사미의 척사현정)(갑인74.07.15) 47분

출가수도사(出家修道士) 출가해서 도 닦는 대중들이여

재색최선금(財色最先禁) 그러니 가장 재물을 멀리 해라

군거수구신(群居須口愼) 대중을 모아서 살지마는 입이 없어버려라 (남의 말, 뭘 할 것이 있느냐)

독거요방심(獨居要防心) 혼자 있을 때 더욱 마음을 막아야 할 것이니라.

*서산대사 ‘示明鑑尙珠彦和諸門輩二’ / 원문 須慎口

 

월소학작천년몽(月巢鶴作千年夢) 학은 달집에서 천년 꿈을 지었다

설옥인미일색공(雪屋人迷一色空) 눈 집의 사람은 한 빛 공에 미했구나

좌단시방유점액(坐斷十方猶點額) 앉아서 시방세계를 끊어도 이맛빡에 혹난 것이다

밀이일보간비룡(密移一步看飛龍) 은밀히 한걸음을 옮겨야사 날으는 용을 볼 것이니라.

*천동굉지 선사 : 石霜스님의 ‘七去 법문’에 대한 송

*점액 : 용문(龍門)을 올라간 잉어는 용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이마에 점이 찍혀서 돌아간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No. 542 갑인년 하안거결제 법문(화두법)(갑인74.04.15) 72분

고일당공 무소부조(杲日當空無所不照) 청천백일이 안 비춰주는 곳이 없이 다 비추어주고 (구름 일점 어디가 있나)

*고봉삼관(高峯三關) 1.杲日當空 無所不照 因甚被片雲遮却? 2.人人有箇影子 寸步不離 因甚踏不着?

3.盡大地是箇火坑得何三昧 不被燒却?

 

무변허공 각소현발(無邊虛空覺所顯發) 갓없는 허공, 각(覺) 나타난 바니라.

*<원각경>

 

작야송담풍우악(昨夜松潭風雨惡) 어젯밤 송담에 풍우가 악하더니

어생일각학삼성(魚生一角鶴三聲) 괴기(고기) 한 뿔다구가 났고 학 세 소리다.

*서산대사 ‘贈熙長老’

 

왕복무제(往復無際) 갔다 왔다 하는 것도 역사가 없고

동정일원(動靜一源) 동하는 것과 정하는 것도 한소식이다

천겁불고(千劫不古) 천겁을 지내도 ‘예’가 아니요

만세장금(萬歲長今) 만겁을 지내도 항상 ‘지금’이다.

*전강스님 일화 참조

 

진리미동 죄복순환(眞理未動罪福循環) 진리는 동함이 없으며 죄복은 순환이다.

*전강대종사

 

진리영존(眞理永存) 진리는 영원히 있는 것이다.

*전강대종사

 

No. 543 갑인년 4월 관음재일 법문(활구참선, 조달권행)(갑인74.04.24) 83분

약무시여선(若無詩與禪) 사바세계에 와서 참선과 도시(道詩)가 없었더라면

응살호풍정(應殺好風情) 이 세계에 나와서 부귀영화 속에서 사는 그 전체가 풍정을 죽이는 것이다

낙화천만비(落花千萬飛) 낙화가 천만쪼가리나 난다

조제양삼성(啼鳥兩三聲) 새는 수풀 속에서 운다.

*서산대사 ‘惜春戲贈竹馬’ / 원문 落花千萬片 啼鳥兩三聲 若無詩與酒 應殺好風情

 

이금차도(而今此道) 이 도문에

난득기인(難得其人) 사람 얻기 어렵다 (옳게 활구선을 가르쳐 줄 스승이 누구고?)

불급심사(不急尋師) 이러한 활구선을 바로 일러줄 스승을 찾지 못하면

공과일생(空過一生) 헛되이 일생을 보낼 것이니라.

*<혈맥론>

 

금생약불종사어(今生若不從斯語) 금생에 만약 이 말을 듣고 닦지 아니할 것 같으면

후세당연한만단(後世當然恨萬端) 후세에 한이 만단이나 될 것이다

내년갱유신조재(來年更有新條在) 내년에도 또다시 새가지 돋아나

뇌란춘풍졸미휴(惱亂春風卒未休) 봄바람에 흔들려 끝이 없으리.

*3,4구 오조법연 <法演禪師語錄>

 

No. 544 갑인년 5월 관음재일 법문(불법 1, 2, 3차 정화)(갑인74.05.24) 74분

납자일생사(衲子一生事) 납자의 평생사야

팽다헌조주(烹茶獻趙州) 차 한잔 달여서 조주스님께 올리는 도리여

심회발백설(心灰髮白雪) 마음은 재가 되야 버리고 머리는 백설이 되야 버렸구나

야문강상적(夜聞江上笛) 밤에 강상의 젓대소리를 듣는구나.

*서산대사 : ‘道雲禪子’ 원문 衲子一生業 烹茶獻趙州 心灰髮已雪 安得念南洲 / 4구 ‘送別張萬戶二’

 

양자강두양류춘(揚子江頭楊柳春) 양자강 머리에는 양류의 봄인데

양화수쇄도수인(楊花愁殺渡水人) 물 건너는 사람도 모두 슬퍼하는구나

일성장적이정만(一聲長笛離亭晩) 한 소리 긴 젓대는 이별 정자에 늦었는데

군향소상아향진(君向瀟湘我向秦) 그대는 소상으로 가는디 나는 진나라로 가는구나.

*唐詩人 정곡(鄭谷) ‘淮水與友人別’ / 원문 揚子江頭楊柳春 楊花愁殺渡水人 數聲風笛離亭晩君向瀟湘我向秦

※고래로 선문(禪門)에서 많이 인용되었다.

 

빈한발도심(貧寒發道心) 배고프고 천박할 때 도심이 발하는 것이요

호귀득도난(豪貴得道難) 호귀스러우면 도를 배우기 어려운 것이다.

*<사십이장경> 豪貴學道難

 

내년삼월춘풍리(來年三月春風裡) 내년 삼월 춘풍 속에는

자고제처백화향(鷓鴣啼處百花香) 자고새가 울고 꽃이 핀다.

*<선가귀감> 원문 常憶江南三月裏

 

No. 545 갑인년 6월 관음재일 법문(갑인74.06.24) 15분

취적기우자(吹笛騎牛者) 젓대를 불며 소를 탄 자야

동서임자재(東西任自在) 동서에 마음대로 자재하다.

 

No. 546 갑인년 칠석법문(적멸궁, 육신통)(갑인74.07.07) 42분

모든 부처님께서 적멸궁을 장엄하심은

많은 겁바다에 하고 싶은 욕(欲)을 버리시고 괴로움을 행하셨느니라.

*발심수행장

 

No. 547 갑인년 하안거해제 법문(고령신찬선사)(갑인74.07.15) 44분

공문불긍출(空門不肯出) 문을 열어놨는데 열어 논 문으로는 나갈 줄 모르고

투창야대치(投窓也大癡) 봉창 닫아 논 놈을 때리고 자꾸 나갈라는 것이 어리석구나

백년찬고지(百年鑽古紙) 백년을 닫아 논 봉창을 뚫어봐라

하일출두기(何日出頭期) 네 어느 날에 그 문을 뚫고 나갈테냐.

*고령신찬

 

No. 548 영가 49재 천도법문, 세조 문수친견, 서산오도송( . . ) 54분

마상공명부득한(馬上功名不得閑) 마상에 공명하느라고 한(閑)이 없다 (조금도 여가가 없다)

연래사십이쇠안(年來四十已衰顔) 사십에 얼굴만 늙어버리고 여지없이 노쇠해버리고 말았구나

고향만리추천원(故鄕萬里秋天遠) 고향은 만리나 되고 가을 하늘이 멀어져 버렸다

일발청산낙조간(一髮靑山落照間) 생각해 보건댄 인생이 낙조에 해떨어진 것과 같어.

*서산대사 ‘寄邊師’

 

원생고려국(願生高麗國) 원컨대 고려국에 나서

일견금강산(一見金剛山) 한 번 금강산 보기를 원한다.

*소동파가 ‘금강산이 천하제일’이라는 말을 전해 듣고는 한번 가보길 원하며 지은 시라 한다.

 

십년단좌옹심성(十年端坐擁心城) 십년동안을 단정히 앉아서 심성을 옹호했다

관득심림조불경(慣得深林鳥不驚) 넉넉하게 깊은 숲의 새가 놀래지 않을 경계를 얻었다

작야송담풍우악(昨夜松潭風雨惡) 어젯밤 송담에 풍우가 악하더니

어생일각학삼성(魚生一角鶴三聲) 괴기(고기) 한 뿔다구가 났고 학 세 소리 허는구나.

*서산대사 ‘贈熙長老’

 

칭두불허창승좌(秤頭不許蒼蠅坐) 저울대 머리에 파리머리 하나만 더해도 저울이 기울어진다

사자경시실정평(些子頃時失正平) 조금만 기울어지면 정평을 잃는다.

*<作法龜鑑>

 

명월갱유신조재(明月更有新條在) 내달에도 또다시 새가지 돋아나

뇌란춘풍졸미휴(惱亂春風卒未休) 봄바람에 흔들려 끝이 없으리.

*오조법연 <法演禪師語錄> / 원문 來年更有

 

No. 549 몽산시 각원상인(임자72.06.12) 23분

천고무인문(千古無人問) 천고에 법을 물을 사람이 없어

만산공두견(萬山空杜鵑) 만산에 속절없이 두견이 우는 것밖에 없다

기우석양과(騎牛夕陽過) (목동은) 소를 타고 석양에 돌아가면서

목동일성적(牧童一聲笛) 한소리 젓대를 부는구나.

*서산대사 : ‘過王將軍墓二’ / 3,4구 ‘過故宅’

 

No. 550 신해년 8월 관음재일 법문(신해71.08.24) 71분

임제일성할(臨濟一聲喝) 임제스님이 설법하실 때 ‘억!’ 한번 고함을 지르면

직통천개안(直通千開眼) 일체 사람 꽉 막힌 귓구멍이 푹∼ 뚫어져버렸다

조주판치모(趙州板齒毛) 조주스님의 판치생모여

직개본래안(直開本來眼) 즉시 본래의 눈을 열어 주는구나.

*읊기는 直通千開眼로 하시고 直開千人聾으로 해설하심

 

고일당공 무소부조(杲日當空無所不照) 청천백일이 안 비춰주는 곳이 없이 다 비추어주고 (구름 일점 어디가 있나)

피편운차각 망지소조(被片雲遮却亡地所照) 어찌 조각구름 같은 게 일광을 덮어버리면은 거다가 구름이 또 덮고 또 덮어서 일광을 가리워 버리고 덮어버리느냐.

*<선요> 고봉삼관(高峰三關) 원문 1. 杲日當空無所不照 因甚被片雲遮却 2. 人人有箇影子 寸步不離 因甚踏不着 3.盡大地是箇火坑得何三昧 不被燒却

 

수지왕사일륜월(誰知王舍一輪月) 누가 왕사[부처님]의 일륜월이

만고광명장불멸(萬古光明長不滅) 만고에 그 광명이 멸하지 않는 것을 알 수가 있겠느냐.

*함허득통 <금강경오가해설의> 함허 序

 

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 만약 색으로 나를 보거나

이음성구아(以音聲求我) 음성으로 나를 구하면

시인행사도(是人行邪道)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느니라.

*<금강경>

 

'전강대종사 > 501 - 6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강대종사 551-600  (0) 2022.0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