如是我聞 나는 이와 같이 들었노라.
만일 만에 하나라도 도리에 맞지 않은 구절이 있다면
내가 잘못들은 것이다.
-편집자-
<일러두기>
1. 이 <법문게송 모음집>은 전강대종사께서 설하신 법문게송을 모은 것입니다.
2. 전강대종사께서는 게송을 해석하실 때 자구(字句) 하나하나에 얽매이지 않으시고 대의만 밝혀 놓으시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법문제목 앞에 •로 표시된 것은 <게송이 없는 법문>이란 표시입니다.
4. 한글 해석은 전강대종사의 녹음법문 중에서 취하였습니다. 해석하시지 않은 게송은 송담스님의 게송해석을 따르고 궁서체 글꼴로 표기하여 ‘송담스님의 해석’임을 나타냈습니다.
5. 송담스님의 게송해석도 없는 것은 편집자가 해석을 하였고 ‘시인과 나’ 글꼴로 표기하여 ‘편집자의 해석’임을 나타냈습니다.
6. 편집자의 능력부족으로 한자음을 완벽히 달지 못한 곳이 있고, 해석이 불완전한 곳이 있습니다. 이런 불완전한 곳은 별표★로 표시하였고, 차후에 교정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7. 오류가 발견되면 즉시 수정보완하여 보다 완전한 ‘법문게송 모음집’을 만들려 합니다.
2016. 3. 27 편집자 합장
<차 례>
전강대종사 법문게송
○No. 1(70.09.16)
<법문 한마당>
• 제석천왕이 가지지 못한 3가지 보물(三般物) No.006
• 유재(有在) 부재(不在) No.029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No.030
• 풍류를 읊으시면서 도반을 찾아가시다. No.033
• 사불범정(邪不犯正) No.034
• 만공 한암스님 서신문답 No.046
• 삼세심도불가득 No.047
• 국창 임방울의 제일구(第一句) No.058
• 조계일적수(曹溪一適水) No.105
• 강사(講師)의 게송 No.153
• 떡장수 노파의 깨침 No.164
• 제일구(第一句) No.165
• 유견유지(有見有地) No.171
• 능엄경 사약장(四若章) No.172
• 이뭣고? No.179
• 예배하는 법 No.190
• 청매조사 십무익송 No.194
• 임제・보화스님 법거량 No.203
• 제자의 스승 제도 No.210
• 양변(兩邊) No.274
• 법을 설한다고 하는 것은 No.280
• 내게 있는 보물 No.281
• 육대 선지식에 한몫 인가를 받다 “달다” No.284
• 혜봉스님과의 법거량 No.300
• 만나기 어렵다 No.312
• 대승계(大乘戒) No.329
• 무주상(無住相) No.338
• 여여~ 여여로~ 상사뒤여… No.339
• 말산요연 비구니 No.384
• 부처님과 가섭존자와 나 No.425
• 일체가 각(覺) No.428
• 부중선사도덕 불위아설파(不重先師道德不爲我說破) No.458
• 태고보우 국사의 참선명(參禪銘) No.475
• 어묵동정(語默動靜)을 여의고 일러라 No.493
• 고봉스님의 술 No.504
• 부처님의 삼불능(三不能) No.507
• 마설(魔說) No.552
• 김성근 대감 이야기 No.554
• 홍도비구 이야기 No.566
• 반기이파(飯器已破) No.583
• 전강대종사 오도 기연 No.586
• 술잔 법문 No.597
• 초당파 법문 No.598
• 체중현(體中玄) No.600
• 척사현정방(斥邪顯正棒) No.601
※ 현중현(玄中玄) 법문 –송담스님- No.601
• 전강대종사 개당설법(開堂說法) No.604
• 가짜 선지식 No.608
• 참부처는 어디에… No.617
• 부모미생전에 입은 옷 No.620
• 성인이 미워하는 것 No.625
• 조달의 지옥고 No.627
• 불설(佛說)과 마설(魔說) No.639
• 이렇게 해도, 이렇게 하지 않아도 No.695
• 법문 청법 공덕 No.706
• 불법(佛法)과 세법(世法)이 둘이 아닌 도리 No.711
○No. 723
•게송모음집을 마치며…
•전강영신 대종사 행장 약록